Trung Nguyen
Advanced Korean News - 이제는 한국산 '외면'‥자립하는 중국 (2023.03.29/뉴스투데이/MBC)
Transcript
배터리 원료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데가, 중국 산업 구조가 근본적으로 바뀐 것도 대중무역 적자의 원인으로 꼽습니다.
판도가 뒤바뀐 중국 산업 구조를 새롭게 공략해야 적자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어서 홍신영 기자입니다.
대중 무역 적자의 첫 번째 요인은 1등 수출입 상품, 반도체입니다.
미중 분쟁 이후, 생산 공장을 중국에서 동남아로 옮기는 기업들이 늘어났는데, 그만큼 중국 공장에 납품하던 한국산부품과 반제품의 수출이 줄어들었습니다.
여기에 경기 침체로 반도체 가격이 많이 내린 것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대로 배터리 원료 수입으로 인한 적자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배터리 생산이 꼭 필요한 리튬이나 전구체 소재의 대중국 의존도는 80에서 90% 수준으로, 배터리 생산량이 늘수록 중국으로부터 핵심 소재의 수입량은 늘어나게 됩니다.
여기에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내수 시장이 얼어붙은 점도 한몫했습니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달라진 중국 그 자체에 있습니다.
과거 중간재나 소비재를 우리나라 등에 의존했지만, 막대한 투자를 통해 이제는 자체 생산이 크게 늘었습니다.
이제 한국이 수입국이 아니라 수출경쟁국이 된 겁니다.
전문가들은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수십 년을 이어온 기존 수출 품목에서 벗어나 주력 수출품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홍신영입니다.
Translation
The high dependence on China for battery raw materials and the fundamental change in China's industrial structure are cited as the causes of the trade deficit with China. It is believed that we can escape from the swamp of deficit by newly attacking the reversed industrial structure of China. Here is reporter Hong Shin-young. The first factor of the trade deficit with China is semiconductors, the top export and import product. After the US-China dispute, the number of companies moving their production plants from China to Southeast Asia has increased, which has reduced the export of Korean-made parts and semi-finished products that were supplied to Chinese factories. In addition, the economic downturn has greatly affected the significant drop in semiconductor prices. On the other hand, the deficit due to the import of battery raw materials continues to increase. The dependence on China for essential battery production materials such as lithium and cathode materials is at the level of 80 to 90%, and as the battery production volume increases, the import volume of core materials from China will increase. The freezing of the domestic market due to China's Corona blockade policy also contributed.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cause lies in China itself, which has changed. In the past, it depended on our country and others for intermediate goods and consumer goods, but now its own production has greatly increased through massive investment. Now, Korea has become an export competitor, not an importing country. Experts suggest that in order for our companies to regain competitiveness, they need to diversify their main export items away from the existing export items that have been continued for decades. MBC News, Hong Shin-young.
Vocabulary
의존도 - dependence; reliance; resilience
공략 - pinch; strategy
적자 - deficit; fittest; shortfall
내수 시장 - 국내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시장 - Markets that sell goods or services in the country
적자의 늪 - 경제적 손실이 계속되는 상황 - Continued economic losses
수출입 상품 - 국가 간에 판매하거나 구매하는 상품 - Products sold or purchased between countries
수출경쟁국 -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출에서 경쟁하는 국가 - Countries competing in the export of certain goods or services
주력 수출품 - 어떤 국가나 기업이 가장 많이 수출하는 상품 - Which country or company exports the most
Grammar
1. -(으)ㄹ 수 있다
This grammar is used to express the potential or ability to do something.
Examples:
그는 한국어를 말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2. -(으)면
This grammar is used to express 'if' or 'when'.
Examples:
시간이 있으면, 저와 함께 영화를 보러 가세요. 비가 오면, 우산을 가져가세요.
Quiz
1. '의존도'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의존하는 정도
B. 의존하지 않는 정도
C. 의존하는 사람의 수
D. 의존하는 사람의 위치
2. 한국의 대중 무역 적자의 원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요?
A. 반도체 가격 상승
B. 반도체 가격 하락
C. 배터리 원료 수출 증가
D. 배터리 원료 수출 감소
3. '공략'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적절한 전략을 세워 상대를 이기려는 행동
B. 공격하는 행동
C. 방어하는 행동
D. 포기하는 행동
4.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어떤 시장이 얼어붙었나요?
A. 해외 시장
B. 내수 시장
C. 금융 시장
D. 부동산 시장
Answers
1. A 2. B 3. A 4.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