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ng Nguyen
Advanced Korean News - 독도 대신 '다케시마'‥'강제동원' 삭제 (2023.03.28/뉴스투데이/MBC)
Transcript
일본 정부가 역사왜곡을 담은 교과서를 오늘 승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강제 동원에서 '강제'라는 말을 지우고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쓴 지도가 초등학교 교과서에 담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엄지은 기자입니다.
정부는 일본 전범 기업이 빠진 강제 동원 배상에 대해 미래지향적인 결단이라며 일본의 호응을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 발표 사흘 만에 일본 외무상이 '강제 동원' 표현이 적절치 않다고 한 데 이어 이번에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강제'라는 단어가 삭제될 것으로 보입니다.
초등학교 3, 4, 5, 6학년용 사회교과서로 조선인과 중국인을 강제로 끌고 왔다는 표현을 '참여했다' 또는 '합류했다'로 바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심지어 '자발적으로 지원했다'고 쓴 교과서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제로 끌고 간 게 아니라 모집이었다'고 주장해 일본 정부가 책임을 벗어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독도에 대한 왜곡은 더 확대됩니다.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주장이 모든 교과서에 실리고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 지도가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부터 담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출판사 세 곳이 쓴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검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중대한 변화가 있다면 당연히 문제 제기를 할 것이라며 전례에 비춰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교과서 발표에 맞춰 주한일본대사를 초치, 즉 불러 항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본이 지난 10년간 반복하고 있는 입장이라며 일희일비할 사안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MBC 뉴스, 엄지인입니다.
Transl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is expected to approve a textbook today that contains historical distortions. It has been reported that a map that erases the word 'forced' from forced mobilization and refers to Dokdo as 'Takeshima' will be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is reporter Eom Ji-eun. The government said it expects Japan's response to the forward-looking decision on compensation for forced mobilization, from which Japanese war criminal companies are excluded. However, just three days after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the Japanese Foreign Minister said the expression 'forced mobilization' was not appropriate, and now it seems that the word 'forced' will also be deleted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xpression 'forcedly brought Koreans and Chinese'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rs will be changed to 'participated' or 'joined'. It was even reported that there are textbooks that say 'volunteered'. This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evade responsibility by claiming that it was not forced, but recruitment. The distortion about Dokdo will be further expanded. The claim that it is Japan's 'inherent territory' will be included in all textbooks, and a map marking Dokdo as 'Takeshima' will be included in textbooks from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s planning to announce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ritten by three publisher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said that if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they will naturally raise issues and respond based on precedents. It seems that the Japanese ambassador to Korea will be summoned to protest in line with the textbook announcement. However, they said it is not a matter to be taken day by day, as Japan has been repeating its position for the past 10 years. MBC News, this is Eom Ji-eun.
Vocabulary
역사왜곡 - 역사의 사실을 왜곡하거나 잘못 전달하는 것 - Distorting or misrepresenting the facts of history
강제 동원 - 힘으로 억지로 사람들을 모집하는 것 - Forcibly recruiting people by force
미래지향적 -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 - Moving towards the future
호응 - hailing
미래지향적인 결단 -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결정 - Decisions to move into the future
일희일비 - 하루하루 기쁨과 슬픔이 바뀌는 것, 일정하지 않고 변덕스러운 상황을 뜻함 - Joy and sorrow change from day to day, a situation that is inconsistent and volatile
Grammar
1. -(으)ㄹ 것으로 보이다
This grammar is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conjecture or prediction about a future event or situation.
Examples:
그는 내일 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비가 올 것으로 보입니다.
2. -(으)ㄹ 것으로 전해지다
This grammar is used when the speaker wants to convey information that they heard from someone else or from a different source.
Examples:
그는 내일 오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비가 올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Quiz
1. '역사왜곡'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역사의 사실을 왜곡하거나 잘못 전달하는 것
B.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
C. 역사를 잘못 이해하는 것
D. 역사를 잊어버리는 것
2. '강제 동원'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A. 자발적으로 사람들을 모집하는 것
B. 힘으로 억지로 사람들을 모집하는 것
C. 사람들을 자유롭게 모집하는 것
D. 사람들을 강제로 해고하는 것
3. 일본 정부는 어떤 교과서를 승인할 것으로 보였나요?
A. 역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교과서
B. 역사왜곡을 담은 교과서
C. 일본의 역사만을 담은 교과서
D. 세계 역사를 담은 교과서
4. 일본의 교과서에서 '강제 동원'이 어떻게 바뀔 것으로 전해졌나요?
A. '강제'라는 단어가 삭제되고 '참여했다' 또는 '합류했다'로 바뀔 것
B. '강제'라는 단어가 그대로 유지될 것
C. '강제'라는 단어가 '자발적'으로 바뀔 것
D. '강제'라는 단어가 '강제적'으로 바뀔 것
Answers
1. A 2. B 3. B 4.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