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ng Nguyen
Advanced Korean News - 나라 망하기 직전이라더니…극장·식당 ‘빈자리 없다’는 이곳은? [경제합시다] / KBS 2023.06.26.
Transcript
글로벌 경젭니다.
최악의 경제난을 겪고 있다는 아르헨티나입니다.
굶주린 국민들이 먹을 만한 걸 찾기 위해 쓰레기 더미를 뒤지는 장면이 보도가 됐었죠.
그런데, 다른 한 편에선 전혀 다른 모습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고급식당은 앉을 자리 없이 사람들로 꽉 들어찼고, 극장 앞에도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아르헨티나 브로드웨이'라 불리는 거리인데요.
주말마다 불야성을 이룬다고 합니다.
수십만 원을 호가하는 미국 인기 팝가수의 11월 공연도 일찌감치 매진됐습니다.
물가상승률은 114%에 달해 30년 만에 최고 수준, 화폐 가치는 휴지 조각이나 다름없고, 외화 보유고는 바닥 난 지 오랩니다.
나라 망하기 직전이라는 아르헨티나에서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높은 물가가 오히려 소비를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저축할 능력은 안 되고 미래도 안 보이니, 대신 현재의 소비를 통해 만족감을 얻고 있단 겁니다.
소득 양극화는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하위 20%와 상위 20%간 소득 격차는 지속적으로 악화해 2020년 기준으로 8배에 이르고요.
현재 기준 국민 40%가 '빈민'이란 통계도 있습니다.
올 들어선 극심한 가뭄까지 겹쳐 아르헨티나 전체 수출의 60%를 차지하는 농산물 수출은 13년 만에 최저치로 주저앉았습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Translation
This is a global economic report. Argentina is going through the worst economic crisis. There have been reports of starving citizens rummaging through garbage dumps to find something to eat. However, a completely different scene is unfolding elsewhere. High-end restaurants are packed with people with no seats available, and long lines are formed in front of theaters. This is a street known as 'Argentine Broadway', which is said to be bustling every weekend. The November concert of a popular American pop singer, which costs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sold out early. The inflation rate has reached 114%, the highest level in 30 years, the value of the currency is no different from a piece of paper, and foreign currency reserves have been depleted for a long time. How is this happening in Argentina, which is on the verge of collapse? There is an analysis that high prices are actually promoting consumption. People are unable to save and can't see the future, so they are finding satisfaction through current consumption. Income polarization is becoming more pronounced. The income gap between the bottom 20% and the top 20% has continuously worsened, reaching 8 times as of 2020. There are also statistics that 40% of the population is currently considered 'poor'. This year, a severe drought has hit, causing agricultural exports, which account for 60% of Argentina's total exports, to slump to their lowest level in 13 years. This concludes our economic report.
Vocabulary
글로벌 경제 - 전 세계의 경제 - Economies around the world
물가상승률 - 물품 가격이 오르는 비율 - The rate at which the price of goods increases
소득 양극화 - 소득이 매우 높은 사람과 매우 낮은 사람 사이의 차이가 커지는 현상 - The widening gap between those with very high incomes and those with very low incomes
빈민 - poor
글로벌 경젭니다 - 글로벌 경제 상황을 보고하는 말로, '글로벌 경제 상황을 살펴봅시다'라는 의미입니다. - It is a way of reporting on the state of the global economy, which means "let's take a look at the state of the global economy."
불야성 - 밤낮으로 쉬지 않고 활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It means being active day and night without rest.
일찌감치 - 일찍이, 미리라는 의미입니다. - It means early, in advance.
화폐 가치는 휴지 조각이나 다름없고 - 화폐의 가치가 매우 떨어져서 거의 없는 것과 같다는 의미입니다. - It means that the value of money has fallen so much that it is almost nonexistent.
나라 망하기 직전 - 나라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의미입니다. - It means that the country is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economically.
Grammar
1. -다는
This is used to quote or report what someone has said or what is generally known or believed. It is equivalent to 'that' in English.
Examples:
그는 학교에 가지 않겠다는 말을 했다. 그녀는 내일 올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2. -에 달하다
This is used to express the extent or degree of something. It is equivalent to 'reach' or 'amount to' in English.
Examples:
그의 재산은 수백억에 달한다. 그녀의 나이는 50에 달한다.
Quiz
1. '글로벌 경제'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한 나라의 경제
B. 전 세계의 경제
C. 지역 경제
D. 국내 경제
2. 아르헨티나의 물가상승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A. 50%
B. 75%
C. 100%
D. 114%
3. '소득 양극화'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소득이 고르게 분포되는 현상
B. 소득이 매우 높은 사람과 매우 낮은 사람 사이의 차이가 커지는 현상
C. 소득이 점점 증가하는 현상
D. 소득이 점점 감소하는 현상
4. 아르헨티나의 국민 중 얼마나 많은 비율이 '빈민'인가요?
A. 20%
B. 30%
C. 40%
D. 50%
Answers
1. B 2. D 3. B 4. C